머나먼 1960년대, 여름이 다가오면 마을은 어두운 그림자에 가려지곤 했습니다. 바로 보릿고개의 그 어려운 시기가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소박한 쌀 창고는 비어가고, 보리는 아직 익지 않아 굶주림을 참아야 했죠. 사람들은 감자, 고구마, 콩, 칡으로도 부족함을 메우려 애썼지만, 때로는 소나무 껍질을 삶아 먹기도 하고, 진흙을 국물에 타 먹음직스러운 부분을 건져 먹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소나무 껍질과 같이 소화하기 어려운 것을 먹다 보니, 가난은 심각한 변비를 일으켰습니다. 이런 고충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라고 했던 것도 기억에 남습니다. 1960년대, 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원조가 밀가루로 인해 소나무 껍질을 먹지 않아도 되었지만, 보릿고개의 그늘은 여전히 우리를 짓밟았습니다.
서울의 1970년대, 식모를 구하기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녀들은 남의 집에 머물며 가사를 도와주는 어린 여성으로, 18-19세가 40%, 16-17세가 27%로 10대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농촌에서는 굶주림이 일상이었고, 가을에 준비한 양식이 바닥이 나는 보릿고개를 버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소녀들을 서울로 보내어 식모살이를 시키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이들은 음식과 숙소를 제공받고 용돈을 받으며 살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보릿고개의 어려움은 새로운 쌀의 등장으로 해소되기 시작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 농촌진흥청에서 파견된 서울대 허문회 교수 연구팀이 필리핀의 국제미작연구소에서 다수확 품종인 IR667을 개발했습니다. 이것은 한국인이 흔히 먹는 자포니카와 다수확 품종인 인디카를 교배한 것으로, 생산량이 30% 이상 증가하여 기적의 쌀로 불렸습니다. 1972년부터 이 쌀의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쌀의 이름은 문제였습니다. IR667은 대중에게 친숙하지 않았고, 그 이름만으로는 쌀의 특징을 알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농촌진흥청은 새로운 이름을 공모하였고, "경제로서 부흥하면 북한을 압도할 수 있다는 뜻"을 내포한 '통일'이라는 이름이 선택되었습니다. 하지만 통일벼는 맛이 좋지 않았기에 일반 국민들에게는 인기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엄청난 생산량으로 인해 보릿고개의 어려움을 해결해주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생산량을 중시했던 '통일벼'의 시대는 지나고, 이제는 밥의 맛을 중시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2012년 경, 전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쌀은 '맑은 가을'이라는 뜻을 담은 추청이었습니다. 이 추청은 아끼바레(맑은 가을)를 한자로 번역한 이름으로 일본에서 기발한 쌀로 만들어졌습니다. 1962년, 아이치현 농업시험장에서 개발된 이 쌀은 1969년 한국으로 도입되었고, 당시 일본명인 '아끼바레'로 알려졌습니다. 밥맛이 우수하다는 평가로 인해 한국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재배면적 1위에까지 올랐습니다. 추청은 일본 쌀이지만, 로열티 지불 기간이 종료되어 비용 부담이 적었고, 쌀알이 맑고 투명하며, 윤기가 나고 찰기도 있어서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현재도 추청은 경기미나 임금님표 이천쌀 등으로 유통되고 있는데, 경기미는 지역명이고, 임금님표 이천쌀은 브랜드이며 품종은 추청입니다. 그러나 추청은 맛은 좋지만 생산량이 10a에 453kg 정도로 많지 않아, 재배 면적이 점차 축소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쌀의 품질을 평가할 때 고시히카리 품종을 비교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아직도 추청은 한국에서 쌀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절대적으로 뛰어난 밥맛을 가지고 있어서 맨밥으로 먹는 용도로는 추청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평가됩니다.
2012년의 1위 쌀은 추청이었지만, 현재는 한국의 재배면적 1위 쌀은 호남 내륙평야에서 생산되는 신동진 쌀입니다. 신동진을 비롯한 신동진(15.8%), 삼광(13.1%), 새 청무(10.3%), 일품(7.5%), 새일미(5.7%), 추청(5.5%) 등의 재배면적 순위가 매겨지고 있습니다. 신동진은 밥을 지어 맨밥으로 먹을 경우, 찰지지도 촉촉하지도 부드럽지도 않지만 생산량 면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쌀의 맛을 논할 때에는 단백질 함량이 중요한데, 신동진은 단백질 함량이 높아 등급은 '미'에 가깝습니다. 일반적으로 밥맛이 좋은 품종들은 단백질 함량이 6.0% 이내인 반면, 신동진은 7.6%로 '미'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하지만 맨밥으로 먹을 때 밥맛이 떨어진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 1위를 차지하는 이유는 생산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추청이 10a에 453kg을 생산하는 반면, 신동진은 570kg까지 생산량이 나옵니다. 또한 신동진은 쌀알이 일반 쌀보다 크기가 30% 이상 크기 때문에 무쇠솥이나 압력솥에서 고온으로 밥을 해야 밥맛이 나옵니다. 즉, 신동진은 맛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조리 방법을 통해 맛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볶음밥이나 덮밥류에 적합한 신동진은 중국집에서 주로 사용되며, 맛있는 볶음밥이나 덮밥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또한 식당에서는 청국장 냄비밥 등의 요리에 활용되며, 각종 요리에 따라 적합한 쌀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최근들어 한국인들이 쌀을 적게 먹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재배면적은 물론이고, 쌀 소비량도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정부는 농가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쌀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매년 수십만 톤의 쌀을 구입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비되는 비율은 매우 낮아 많은 양의 쌀이 창고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중 약 7%만이 2년 이내에 소비되고, 나머지 93%는 최대 3년 동안 창고에서 보관됩니다. 3년이 지난 묵은 쌀은 대부분 주정용으로나 가축 사료로 판매됩니다. 하지만 쌀 시장의 현실은 다소 참담합니다. 예를 들어, 2018년에 구입한 쌀이 2021년에 주정용으로 20kg당 8,000원에, 2022년에는 사료용으로 20kg당 4,000원에 팔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쌀의 수요를 충족하면서도 밥맛이 좋은 참동진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품종은 농진청이 개발하여 보급을 시작한 것으로, 특히 밥의 맛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신동진을 재배하는 농민들은 정부의 공공 비축 미에서 신동진을 대체할 참동진으로의 전환에 반발하고 있는데, 이는 참동진이 생산량이 적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기 때문입니다. 현재 밥맛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하여 수매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량이 많은 신동진을 농부들이 선호해왔던 배경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는 다양한 쌀 품종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오대는 특별한 쌀로, 추운 기후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라는 기간이 짧아 북쪽 지역에 최적화된 고품질 쌀로, 주로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생산됩니다. 철원은 용암지대로 알려진 곳으로, 27만 년 전의 신생대 화산 분출로 형성되었습니다. 이곳은 현무암과 점토질의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쌀이 특별한 맛과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철원은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생산되는 채소와 과일은 당도가 높고 속이 단단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쌀도 일교차가 크면 조직이 치밀해지고 밥맛이 진해지게 됩니다. 철원의 물 또한 쌀의 품질에 영향을 줍니다. 현무암 화산층 지대를 흐르며 미네랄이 풍부한 물은 쌀의 풍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철원 오대쌀은 밥을 하고 나서도 맛이 오래 유지되어 도시락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찬밥으로 먹을 때 가장 맛있는 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맛과 질감은 철원의 특별한 지리적 조건과 물의 영향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쌀도 등급이 있고 지역별로 특징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쌀을 선택하여 먹을 수 있습니다. 등급으로는 특, 상, 보통, 등외 등이 있으며, 특등급 중에서도 깨지지 않는 쌀이 96% 이상 섞인 경우에는 완전미로 표시됩니다. 이는 가장 고품질의 쌀로 여겨지며, 가격 또한 높게 형성됩니다. 현재 한국에는 100여 종류 이상의 쌀이 유통되고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는 2012년 5월부터 모든 쌀 포장지에 품질등급 표기를 의무화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쌀을 선택할 때 등급을 기준으로 고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쌀포대의 라벨에는 등급 외에도 쌀의 단백질 함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함량이 6% 이하면 '수', 6.1~7%는 '우', 7%를 넘어가면 '미'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소비자들이 쌀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 물론, 등급 표기는 의무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일부 쌀은 등급 외에도 단백질 함량을 강조하기 위해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소비자들이 쌀을 선택할 때 더욱 다양한 정보를 고려할 수 있게 해줍니다.
쌀의 종류 또한 중요합니다. 위스키에는 싱글몰트 위스키와 블렌디드 위스키가 있듯이, 쌀도 단일미와 혼합미로 나뉩니다. 단일미는 한 품종의 쌀로만 만들어진 것이고, 혼합미는 여러 품종의 쌀이 섞여 있습니다. 이는 당연한 이치겠지만, 단일미가 일반적으로 비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쌀 중에서 가장 비싼 순으로 보면, 히토메보레가 상위에 위치합니다. 히토메보레는 '한눈에 반한 쌀'이라는 뜻으로, 고시히카리를 개량한 품종입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 개발된 신품종인 진상, 밀키 퀸(골드 퀸), 삼광 등도 가격 대비 성능이 좋아져서 일본 쌀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밀키 퀸은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에서도 판매되고 있으며, 골드 퀸은 밀키 퀸에 향미가 추가된 제품입니다. 또한, 진상은 여주자채쌀 브랜드로 나오는데, 재배면적이 적어 예약 구매로 완판되고 있습니다. 신품종 쌀들의 공통점은 일반적인 쌀보다 물 조절을 살짝 줄여야 최적의 밥맛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이를 모르고 쌀이 질 수 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내가 먹는 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농산물 이력정보 조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쌀포대에 표시된 내용 외에도 등급, 단백질 함량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더욱 신중하고 품질 좋은 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입맛은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좋아하는 밥맛도 각기 다릅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가장 맛있는 쌀을 찾아내고, 그에 맞는 지역 쌀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공급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일정한 경작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입맛에 맞는 쌀을 찾아 먹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맛있는 식사는 건강에도 도움이 되며, 지역 농가의 경제적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맛집을 찾아다니는 것처럼 자신에게 맞는 쌀을 찾아서 많이 섭취하는 것은 개인과 사회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Related posts you may be interested in:
Unraveling History: A Different Lens on the Russia-Ukraine War
Global Economic Stage and Fluctuations in Gold Prices: Unique Influences from Turkey and Egypt
댓글 없음:
댓글 쓰기